Curt Poem

프론트 엔드 공부와 지식 나눔을 위한 블로그

Rest 3

REST 3탄: HTTP 메서드의 의미는 무엇일까?

REST는 자원(Resource), 행위(Verb), 표현(Representaions)로 나뉩니다. 이전에 자원은 URI에서 식별이 가능하여야 하고 표현은 응답(Respone)의 본문(body)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. 그리고 리소스와 분리가 되는 행위가 있다고 했죠. 그렇다면 행위는 무엇이고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? 행위는 요청(request)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. URI에 주어진 리소스에 대하여 어떤 행동을 할지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.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HTTP의 주요 메서드는 다섯 가지가 있습니다. GET, POST, PUT, PATCH, DELETE입니다. 그 외에도 HEAD, OPTIONS, CONNECT, TRACE 메서드가 존재합니다. GET 서버에서 리소스를 조회할 것..

REST 2탄: HTTP 상태 코드에 대하여 알아보자

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을 할 때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, 오류가 있어 요청이 실패하였는지 알 수 있어야합니다. 위의 사진처럼 모든 응답에 대해 같은 HTTP 상태 코드를 반환하면 어떤 상황인지 알아보기 힘들어집니다. 그래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보낼 때 각각의 상황에 맞는 상태코드를 포함하여 응답합니다. HTTP 응답으로 주어지는 상태 코드를 통해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, 실패했다면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. HTTP의 응답은 응답, 성공적인 응답, 리다이렉트, 클라이언트 에러, 그리고 서버 에러의 5개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.상태코드는 세 자리의 숫자로 나타내며, 첫 번째 숫자는 그룹을, 나머지 숫자는 상세한 코드를 나타냅니다.정보 응답 혹은 조건부 ..

REST 1탄: REST(ful) API는 무엇일까? REST를 위한 규칙

인터넷은 정보들을 하이퍼텍스트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합니다. 각 정보는 HTML의 형식으로 표현되며, 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를 통해 정보를 식별합니다. 우리는 정보의 식별자인 URI에 프로토콜을 조합하여,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(Uniform Resource Locator)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웹서비스에서의 프로토콜은 대부분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를 사용하죠. 참고로 HTTPS는 HTTP에 암호화를 더해 보안이 강화된 버전입니다. REST란 기존의 HTTP를 기존의 WEB과 충돌하지 않으면서도 더 나은 방법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. 더 나은 방법이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독립적인 진화를 의미..